멀티콥터

오픈소스 BLDC짐벌 세팅에 대한 노하우

출처 : http://cafe.naver.com/wookongm/23173 저도 오픈소스 짐벌을 사용해보았고 삽질도 많이 했었습니다. 그때 포럼에서 본 자료와.. 이번에 타롯 고프로용 짐벌 세팅 메뉴얼을 작성하면서 조합한 노하우를 몇개 적어볼까 합니다. 저도 여기저기 들은 내용을 정리하는것이라 완벽하지 않고, 실수도 있을 수 있습니다. 야밤에 모바일로 작성하는 것이라 오타 양해 바랍니다. 0.짐벌을 모두 조립하고 CG를 마춰주세요(무게중심) BLDC짐벌에서 가장중요한것은 무게중심 입니다. 젠뮤즈 짐벌이 특정

오픈소스 BLDC짐벌 세팅에 대한 노하우 더 읽기"

드론 날릴 때 주의사항

출처 : http://cafe.naver.com/dronplay/118044 1. 안전을 이유로 되도록 셀당 3.5V가 될때는 비행을 마치도록 한다. 4.2V만충에서 방전되는 속도와, 저전압에서 방전되는 속도는 매우 다르다. 영하의 추운날씨에서는 매우 빠르게 방전된다. 배터리 보온대책을 세워라. 2. 지자계 캘리를 매번할 필요가 없다고 알려져있으나, 매번하도록 하는 습관을 키우자 3. 머리높이에서 호버링을 잠깐해서, 외관상 별 문제가 없는지와 모터회전소리가 평소와 같은지 확인하고 큰문제가 없는지 관찰후 비행을

드론 날릴 때 주의사항 더 읽기"

ClenaFlight G-TUNE 으로 PID 자동셋팅

출처 : https://github.com/cleanflight/cleanflight/blob/master/docs/Gtune.md ■ G-tune 실행 순서 1. Arm (다른 모드를 모두 off한 Acro 모드에서 실행) 2. Turn on G-tune 3. 다른 스틱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스로틀만 살살 올려 천천히 이륙 시킨다. 4. G-tune은 Arducopter의 autotune 처럼 스스로 떨지 않는다. 대신 조종사가 움직여 줘야한다. 어느정도 비행이 부드러워 질때까지 조종한다. 5. Turn off G-tune 6. 착륙 후 Disarm

ClenaFlight G-TUNE 으로 PID 자동셋팅 더 읽기"

CleanFlight 설정값

set gyro_sync_denom = 2 set min_throttle = 995 set max_throttle = 2000 set rc_smoothing = OFF set min_command = 991 set gps_auto_baud = ON feature RSSI_ADC SAVE # aux aux 0 0 0 1925 2100 aux 1 1 1 1925 2100 aux 2 2 1 1400 1600 aux 3 3 3 1100 1525 aux 4

CleanFlight 설정값 더 읽기"

CleanFlight CLI Command Reference

출처 : https://github.com/cleanflight/cleanflight/blob/master/docs/Cli.md CleanFlight CLI Command Reference Command Description 1wire <esc> passthrough 1wire to the specified esc adjrange show/set adjustment ranges settings aux show/set aux settings mmix design custom motor mixer smix design custom servo mixer color configure colors defaults reset to defaults and reboot dump print configurable settings in a pastable form exit feature list or -val

CleanFlight CLI Command Reference 더 읽기"

전자부품 명칭

■캐패시터(Capacitor) or 콘덴서(Condenser): 전기를 저장 , 충전된 캐퍼시티 전구에 연결하면 단시간동안 불빛 ON / 단위는 F(페럿,Farad) ■다이오드(Diode) : 전기가 한 방향으로 흐르게 만들어줌 ■레귤레이터(Regulator) : 트랜지스터라는 반도체의 일종, 외부 전압을 원하는 전압으로 맞춰주는 장치 ■인덕터(Indictor) : 자기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알아내는 소자 ■저항(Resistor) : 전기적 에너지를 열로 발산

전자부품 명칭 더 읽기"

UBlox GPS 전송속도 변경하기

준비물 : UBLOX u-center 디폴트 9600bps 인 속도를 57600bps 로 변경. 1. FTDI와 GPS 연결 2. Receiver → Port와 BaudRate를 설정하여 PC와 GPS를 연결한다. 디폴트는 9600bps 3. Tools → GNSS Configuration 에서 “GNSS>FIle”을 선택하여 현재 GPS 설정을 파일로 기록한다. 4. 저장한 설정파일에서 9600 인 0x2580을 “80 25″로 검색한다. 5. “80 25″를 57600(0xE100)인 “00 E1″로 수정한다. 6.

UBlox GPS 전송속도 변경하기 더 읽기"

Pixhawk

■Prameters : http://copter.ardupilot.tridgell.net/wiki/arducopter-parameters/ ■FrSky Telemetry : http://copter.ardupilot.com/wiki/common-frsky-telemetry/ ■Flight Mode : http://copter.ardupilot.com/wiki/flight-modes/ Pinouts TELEM1, TELEM2 ports Pin Signal Volt 1 (red) VCC +5V 2 (blk) TX (OUT) +3.3V 3 (blk) RX (IN) +3.3V 4 (blk) CTS (IN) +3.3V 5 (blk) RTS (OUT) +3.3V 6 (blk) GND GND GPS port Pin Signal Volt 1 (red) VCC +5V 2 (blk) TX

Pixhawk 더 읽기"

센서

참고자료 :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계센서 IMU(Inertial Measurement Unit-관성측정장치) ■ 가속도 센서 (Accelerometer Sensor) 가속도 센서는 Accelerometer 로 말 그대로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가속도 센서가 3축이라 함은 센서가 3차원에서 움직일 때 x축, y축, z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기본적으로 가속도 센서는 가만히 정지한 상태에서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기 때문에 z축 방향으로 -g 만큼의 값을 출력합니다. 그러면

센서 더 읽기"

apm build

빌드 방법 : http://dev.ardupilot.com/wiki/building-ardupilot-with-arduino-windows/ 소스 코드 : https://github.com/diydrones/ardupilot/tree/ArduCopter-3.2.1

apm build 더 읽기"

CleanFlight Flight Mode

■ CleanFlight (https://github.com/cleanflight/cleanflight/blob/master/docs/Modes.md) MSP ID CLI ID Short Name Function 0 0 ARM Enables motors and flight stabilisation 1 1 ANGLE Legacy auto-level flight mode 2 2 HORIZON Auto-level flight mode 3 3 BARO Altitude hold mode (Requires barometer sensor) 4 N/A VARIO Unused 5 4 MAG Heading lock 6 5 HEADFREE Head Free –

CleanFlight Flight Mode 더 읽기"

APM 2.5.2 3.3V 레귤레이터 수리

필요한 부품 : MIC5219-3.3YM5(LG33) (http://www.devicemart.co.kr/1058156) 0402 or 0603 size SMD 470Ω Resistor (Marked [471]) (http://www.devicemart.co.kr/39247) 1206size 47uf 6.3V Capacitor : http://www.ic114.com/AJAXWWW/SITE/sc/00V0.aspx?ID_P=P0082098 원인: 출처 : http://cafe.naver.com/wookongm/57026 , http://cafe.naver.com/wookongm/76829(댓글참조) 혹여나, APM 보드사용하시면서 Reulator 파손으로 으로 인해 고생하신다면, 아래 내용을 꼭 참조하세요. 원인 : This is a discussion re the bad Accel, Gyro and Baro values that we’re seeing with ArduCopter-3.1. Arducopter

APM 2.5.2 3.3V 레귤레이터 수리 더 읽기"

BLHeli 펌웨어 설정값

Temperature Protection  : Off Low RPM Power Protect   : Off DEMAG Compensation      : Low PWM Frequency.damped    : Damped Light PPM Max Throttle        : 2000ms Recommended ESC settings as follows: 1.Brake: OFF 2.Battery Type: Ni-xx(NiMH or NiCd) (even if you’re using Li-po batteries this setting reduces the likelihood that

BLHeli 펌웨어 설정값 더 읽기"

pid 찾는 방법

출처 : http://cafe.naver.com/wookongm/86761 1. P 기체는 acro 모드로 한다. I, D는 0 으로 한다. 조종기로 P 값을 조정할 수 있게 해둔다. 레인지는 0.05~0.225로 설정한다. 스로틀을 호버링 수준으로 올린다. P 가 0이면 기체가 요동치게 되니 0.075 정도로 맞춘다. 기체를 손으로 잡고 스틱을 치면서 스틱 친 방향으로 손으로 기체를 기울여본다. 느리게 움직이면 P를 올리고 진동이 생기면 P 를

pid 찾는 방법 더 읽기"

NAZE32 ESC Calibration

1. 배터리 분리 2. Configuration → Maximum Throttle=2000 으로 변경 후 <Save and Reboot> (초기값:1850) 3. Motors → “I understand …” 체크 후 Master를 최대값으로 올림 4. 배터리 연결 5. Master를 최소값(0)으로 내림 6. Configuration → Maximum Throttle=1850(초기값)으로 변경 후 <Save and Reboot> 7. 끝.

NAZE32 ESC Calibration 더 읽기"

MavLink to FrSky S.Port converter (Arduino Mini Pro)

■ Arduino Pro Mini: 원본 소스코드 : https://github.com/wolkstein/MavLink_FrSkySPort Arduino 1.6.7로 빌드 되었음. HEX 파일 : MavLink_FrSkySPort.ino.with_bootloader.hex 소스코드 : MavLink_FrSkySPort_for_Arduino_Pro_Mini.zip ■ 기타 https://github.com/Clooney82/MavLink_FrSkySPort (가장 업데이트가 활발한 사이트) https://github.com/rotcehdnih/Mavlink2Frsky/tree/mavTone (Arduino 1.6.3에서 빌드하며 Arduino Pro Mini는 Serial1을 Serial로 변경하면 컴파일 된다.) http://vizual54.github.io/APM-Mavlink-to-FrSky/ https://github.com/vizual54/APM-Mavlink-to-FrSky ■ FrSky S-Port telemetry library – easy to use and configurable http://www.rcgroups.com/forums/showthread.php?t=2245978 ■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chrisong/220129176482 http://cafe.naver.com/dronplay/66101 자동감지영어일본어중국어 (간체)한국어스페인어 영어일본어중국어 (간체)한국어스페인어 리뷰는 개발자에게

MavLink to FrSky S.Port converter (Arduino Mini Pro) 더 읽기"

HC-06 블루투스 모듈 셋팅

출처 : http://blog.naver.com/ysahn2k/220533036244 블루투스(HC-06)와 앱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드론이 조금씩 흔들림이 일어나서 PID제어를 해야하는데 집에서 값을 변경하고 외부에서 확인을 하는 작업이 너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 외에 인공위성의 연결된 갯수, AUX 옵션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서 외부에서 PC대용으로 쓰기에 참으로 편리하다. 특히 캘리브레이션은 유선이 아니 무선으로 하기 때문에 무척 편리한 것 같다. 우선, 블루투스를 연결하기

HC-06 블루투스 모듈 셋팅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