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SQL] Database 삭제
sql@sql:~$ sqlcmd -U SAPassword: ********** USE MASTERGOALTER DATABASE <DATABASE NAME>SET OFFLINE WITH ROLLBACK IMMEDIATEGODROP DATABASE <DATABASE NAME>GO
sql@sql:~$ sqlcmd -U SAPassword: ********** USE MASTERGOALTER DATABASE <DATABASE NAME>SET OFFLINE WITH ROLLBACK IMMEDIATEGODROP DATABASE <DATABASE NAME>GO
Raspberry Pi OS Download: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operating-systems/ Armbian Download: https://www.armbian.com/rpi4b/ Home Assistant Operating System Download: https://github.com/home-assistant/operating-system/releases Specifications: https://www.raspberrypi.com/products/raspberry-pi-4-model-b/specifications/ My Raspberry Pi 4B Mac Address d8:3a:dd:aa:8c:44 ■Specifications Broadcom BCM2711, Quad core Cortex-A72 (ARM v8) 64-bit SoC @ 1.8GHz 4GB LPDDR4-3200 SDRAM (depending on model) 2.4 GHz and 5.0 GHz IEEE 802.11ac wireless, Bluetooth 5.0, BLE Gigabit Ethernet 2 USB
■관련 URL 매뉴얼: https://wiki.friendlyelec.com/wiki/index.php/NanoPi_R3S 구입: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7627886669.html Homepage: https://www.friendlyelec.com/index.php?route=product/product&product_id=303 Download: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qRUboKk8igBH59lcRJ-9GgrV9J6F2unE ■Toolchain 설치 apt -y install python3-pip 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friendlyarm/build-env-on-ubuntu-bionic/master/install.sh)” 설치 테스트: export PATH=/opt/FriendlyARM/toolchain/11.3-aarch64/bin:$PATH aarch64-linux-gcc -v ■리눅스 커널 빌드 git clone https://github.com/friendlyarm/kernel-rockchip –single-branch –depth 1 -b nanopi6-v6.1.y kernel-rockchip cd kernel-rockchip touch .scmversion # Configuring the Kernel # Load default configuration make
■CPUAllwinner H616 64-bit high-performance Quad-core Cortex-A53 processor ■GPUMali G31 MP2Supports OpenGL ES 1.0/2.0/3.2、OpenCL 2.0 ■Video decoding• H.265 Main10@L5.1 decoder up to 4K@60fps or 6K@30fps• VP9 Profile 2 decoder up to 4K@60fps• AVS2 JiZhun 10bit decoder up to 4K@60fps• H.264 BP/MP/HP@L4.2 decoder up to 4K@30fps ■Video encoding• H.264 BP/MP/HP encoder up to 4K@25fps or 1080p@60fps• JPEG
■CPUH2 Quad-core Cortex-A7 H.265/HEVC 1080P. ■GPU·Mali400MP2 GPU @600MHz·Supports OpenGL ES 2.0 ■Memory (SDRAM)256MB/512MB DDR3 SDRAM(Share with GPU)(256MB version is Standard version) ■Onboard StorageTF card (Max. 32GB)/ 2MB Spi Flash ■Onboard Network10/100M Ethernet RJ45 POE is default off. ■Onboard WIFIXR819, IEEE 802.11 b/g/n ■Audio InputMIC(via 13 pins external board ) ■Video OutputsAV OUT(via 13 pins external
Homepage: https://www.hardkernel.com/shop/odroid-hc2-home-cloud-two/ Firmware: https://wiki.odroid.com/odroid-xu4/os_images/os_images Armbian: https://www.armbian.com/odroid-hc1/ ■CPU: Samsung Exynos5422 ARM Cortex??A15 Quad 2.0GHz/Cortex??A7 Quad 1.4GHz ■DRAM Memory: 2Gbyte LPDDR3 RAM PoP (750Mhz, 12GB/s memory bandwidth, 2x32bit bus) ■GPU: Mali-T628 MP6 OpenGL ES 3.1 / 3.0 / 2.0 / 1.1 and OpenCL 1.2 Full profile ■HDD / SSD
ODROID-HC2 : Home Cloud Two 더 읽기"
http://www.orangepi.org/orangepipc2/ Hardware specification CPU • H5 High Performance Quad-core 64-bit Cortex-A53 • Integrated multimedia acceleration engine • Hardware Java acceleration • Integrated hardware floating-point coprocessor GPU • Full scene over-sampled 4X anti-aliasing engine with no additional bandwidth usage • High Performance Hexa-core Mali450 • OpenGL ES 2.0/1.1/1.0, OpenVG 1.1, EGL • 40 GFlops, Pixel fill rate
1. Beaglebone Black 설정 – 게이트웨이 설정 sudo route add default gw 192.168.7.1 usb0 – 네임서버 추가 sudo echo “nameserver 8.8.8.8” >> vi /etc/resolv.conf 2. 윈도우 설정 인터넷 인터페이스(인터넷이 되는 인터페이스) : wlan0 USB 인터페이스(공유 대상 인터페이스) : usb0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윈도우 공유를 이용한 USB를 통한 인터넷 설정 더 읽기"
이미지 다운로드 : https://rcn-ee.com/rootfs/ 수동설치 : https://eewiki.net/display/linuxonarm/BeagleBone+Black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 메뉴 중 “Flasher / eMMC: BeagleBone Black/Green”에서 Prebuilt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bbb-emmc-flasher-ubuntu-16.04.1-console-armhf-2016-11-10-2gb.img.xz 의 압축을 풀고 “Win32 Disk Imager”를 사용하여 Micro SD카드에 써 넣는다. (이미지는 반드시 “eMMC–flasher-“라는 명칭이 파일명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어야 함) 1. 전원을 빼고 SD카드를 비글본블랙에 삽입한다. 2. 비글본블랙의 Boot 버튼을 꾹 누른다. 3. 누른상태로
Beablebone Black에 Ubuntu 설치 더 읽기"
출처 : http://blog.aiui.com/13 1. 개요 이번 글에서는 BBB에서 GPIO를 다루는 방법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BBB에서 GPIO를 다루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글에서는 디바이스 트리 오버레이와 sys 가상 디렉토리를 이용해 원하는 핀을 GPIO용으로 설정하고 테스트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글의 내용들은 제가 완전히 이해하고 자신있게 강좌의 개념으로 정리했다기 보다는 ‘이렇게 사용해 봤습니다’ 라는 정도의 수준이고, 제 자신의 정리로써의 의미가 더 강하므로 그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GPIO란? 이 글을 보시려는 대부분의 분들이 GPIO에 대해 잘 아시겠으나 혹여라도 생소한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만 언급을
Beaglebone Black GPIO 다루기 더 읽기"
출처 : http://www.hardcopyworld.com/gnuboard5/bbs/board.php?bo_table=lecture_pract&wr_id=35 아두이노와 센서를 능숙하게 다루고 각종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용하기 시작하는 중급 유저라면 메모리 문제를 한번쯤 겪기 마련입니다. 불과 2KB의 SRAM을 가진 아두이노에서는 메모리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는데 반해 이를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이 아두이노에서는 마땅히 없습니다. (PC 혹은 다른 기기, 플랫폼에서도 메모리 문제가 골치거리인 점은 같지만…) 유일한 디버깅 방법인 Serial 함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