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콥터

ArduCopter Stabilize Mode

출처 : http://cafe.naver.com/ardupix/937 Stabilize 모드는 사용자에게 기체의 수동 조작을 허용하지만 roll과 pitch축의 수평 자세를 스스로 유지합니다. 개요 • 조종자의 roll과 pitch의 조작이 콥터의 기울기를 제어합니다. 조종자가 roll과 pitch 키를 놓으면 기체는 스스로 수평을 유지합니다.(자세유지) • 바람에 의해 기체가 밀려 돌아다닐 때 위치를 지키기 위해 조종자는 보통 roll과 pitch를 조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 조종자가 보내는 yaw조작 신호는 […]

ArduCopter Stabilize Mode 더 읽기"

Ardupilot 자료 링크

조종기 용어 /xe/index.php?document_srl=1795 MinimOSD+ArduinoProMini Y Cable /xe/index.php?document_srl=4321 ArduCopter ESC Calibration /xe/index.php?document_srl=4088 Build BBBMini on the Beaglebone Black /xe/index.php?document_srl=4632 Build ArduPilot for Pixhawk /xe/index.php?document_srl=3831 Pixhawk 세부사양 및 커넥터 핀 구조 /xe/index.php?document_srl=1789 Pixhawk 진동 측정 /xe/index.php?document_srl=3206 PixHawk LED 메세지 설명 /xe/index.php?document_srl=2963 Stabilize Mode /xe/index.php?document_srl=3198 리뷰는 개발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응원하러 가기 자동감지영어일본어중국어 (간체)한국어스페인어 영어일본어중국어 (간체)한국어스페인어 리뷰는 개발자에게

Ardupilot 자료 링크 더 읽기"

ArduCopter 기본 튜닝 순서

참고 : http://ardupilot.org/copter/docs/basic-tuning.html#throttle-tuning 기본적인 Accel,Compass,ESC 캘리브레이션을 마친 후 아래와 같은 튜닝을 통해 기체의 조종이 수월하도록 셋팅한다. ■ Mission Planner / CONFIG/TUNING→Basic Tuning 1. Roll/Pitch Rate Control Roll/Pitch의 반응시간 조정으로 부드럽게 반응할 수 있는 반응시간을 찾는다. – 너무 급격하게 움직이면 슬라이더를 왼쪽으로 이동 –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이동 이 과정을 반복하여 부드럽게 움직이는 적절한

ArduCopter 기본 튜닝 순서 더 읽기"

BLHeli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 아두이노 나노 셋팅 1. 아두이노 나노 D3에 신호선 GND에 그라운드를 연결한다. ■ DYS-SN20A, (Atmel 칩셋, SimonK 부트로더) 1. 아두이노 나노로 플래싱툴 만들기 2. 플래싱툴 연결하고, 펌웨어 업그레이드 ■ Hobbywing XRotor 20A (SILABS 칩셋, BLHeli 부트로더) 2017.03.24. 수정 – “Make Interfaces” 탭에서  “Arduino BLHeli Bootloader” 펌웨어를 아두이노 나노에 플래싱 한다. – “SILABS BLHeli Bootloader (USB/Com)”

BLHeli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더 읽기"

STorM32 BGC

홈페이지 : http://www.olliw.eu/storm32bgc-wiki/ 메뉴얼 : http://www.olliw.eu/storm32bgc-wiki/Manuals_and_Tutorials ■ Storm32 BGC (MOSFET VERSION) board version: v1.1 board color: blue motor drivers in DFN packages: yes on-board MPU: yes on-board bluetooth module: no I2C plug type: picoblade (1.25mm JST) I2C#2 plug type: picoblade (1.25mm JST) pin headers: no Gimbal Motor : GM2208-80 / 80KV / 12N14P (http://www.olliw.eu/storm32bgc-wiki/Docu_for_witespy_board%28s%29) ■ STorM32 Pixhawk http://ardupilot.org/copter/docs/common-storm32-gimbal.html

STorM32 BGC 더 읽기"

ArduCopter ESC Calibration

■ APM 01. 조종기의 스로틀을 최대로 올림. 02. 전원 연결. 03. LED 깜박임 확인 후 5초 뒤 전원 분리. (다음 연결에 캘리브레이션 작동) 04. 전원 연결. 06. 삑삑삑… 소리가 나면 조종기 스로틀 최하로 내림. 삑- 07. 스로틀을 올렸다 내려가면서 모터 작동 확인 08. 전원 분리. 09. 전원 연결 10. 끝. ■ Pixhawk 1. 조종기의 스로틀을 최대로 올림.

ArduCopter ESC Calibration 더 읽기"

팬텀3가 바람에 견디는 정도

출처 : http://cafe.naver.com/dronplay/150057 수고해주신 간이 풍력계의 모습. 제주도 산중턱에서는 기상청 예보랑 실제 풍속이 따로노는 경향이 있어서 그냥 참고용으로 풍속계 질렀습니다. 가지고 있는 Yizhan X4, Syma X5, DJI Phantom 3 Advance로 그 동안 바람 탄 것을 보퍼트 풍력계급에 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계급 : 0 명칭 : 고요 풍속 : 0.0~0.2 m/s 육상상태 : 연기가 수직으로 올라간다. 해상상태 :

팬텀3가 바람에 견디는 정도 더 읽기"

뭉개진(야마난?) 나사 빼기

출처 : http://blog.naver.com/dupen/140200059821 RC용품 기체에는 나사가 엄청 많이 들어가는 것 같다. 수리나 정비하기 위해서는 요리조리 뜯어볼 수밖에 없는데 많이 뜯어보다가는 나사머리가 뭉개지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흔히 야마났다고들 한다. 이런경우 나사를 뺄 수 있는 방법을 모아보았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뭉개질 것 같은 기미가 보이면 그전에 나사를 교환해주는 것일 것이다. 1) 납땜 나사머리에 렌치나 일자드라이버를 갖다대고 납땜을

뭉개진(야마난?) 나사 빼기 더 읽기"

APM UART2(Serial3) 활성화 방법

■ ArduCopter 3.2.1 소스코드 수정 ▶ ArduCopter/system.pde 166번째 라인에서 #if CONFIG_HAL_BOARD != HAL_BOARD_APM2     // we have a 2nd serial port for telemetry on all boards except     // APM2. We actually do have one on APM2 but it isn’t necessary as     // a MUX is used     gcs[1].setup_uart(hal.uartC, map_baudrate(g.serial1_baud), 128,

APM UART2(Serial3) 활성화 방법 더 읽기"

Pixhawk Flight Mode Number

// Auto Pilot Modes enumeration enum autopilot_modes {     STABILIZE =     0,  // manual airframe angle with manual throttle     ACRO =          1,  // manual body-frame angular rate with manual throttle     ALT_HOLD =      2,  // manual airframe angle with automatic throttle    

Pixhawk Flight Mode Number 더 읽기"

CleanFlight Autotune

출처 : http://cafe.naver.com/gjdroneracing/73 오늘은 오토튠에 대해 올려보겠습니다. 나제계열 FC의 오토튠 기능은 자동으로 PID값을 찾아주는 강력한 기능으로 CC3D에는 없는 기능입니다.  적절한 PID 값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오토튠 기능을 사용하면 빠르고 쉽게 PID값을 세팅할수 있습니다. 일단 설정방법에 앞서 오토튠은 앵글모드와 호라이즌 모드에서만 작동됩니다. 그리고 오토튠 실행시 기체가 흘러갈 수 있기 때문에 호버링시 흐르지 않도록 세팅후 배터리 만충상태로 바람이

CleanFlight Autotune 더 읽기"

CleanFlight 소스코드 빌드

GitHub : https://github.com/cleanflight 1.cygwin 설치 Devel/git Devel/git-completion (Optional) Devel/make Devel/binutils Editors/vim Editors/vim-common (Optional) Shells/mintty (should be already selected) 2.ARM 툴체인 4.8 다운로드 후 설치 https://launchpad.net/gcc-arm-embedded/+download/ gcc-arm-none-eabi-4_8-2014q3-20140805-win32.exe PATH에 bin 경로만 추가하면 끝. 3.소스코드 다운로드 git clone -b v1.13.0 https://github.com/cleanflight/cleanflight.git 4.빌드 cd cleanflight make TARGET=NAZE 5.펌웨어 … obj/cleanflight_NAZE.hex ※ 빌드 TARGET 목록 ALIENWIIF1 ALIENWIIF3 CC3D CHEBUZZF3 CJMCU COLIBRI_RACE

CleanFlight 소스코드 빌드 더 읽기"

Build ArduPilot for Pixhawk

-참고사이트 : http://ardupilot.org/dev/docs/building-px4-with-make.html -윈도우용 툴체인 다운로드 : http://firmware.eu.ardupilot.org/Tools/PX4-tools/ -소스코드 : https://github.com/ArduPilot/ardupilot ■ 윈도우에서 빌드 준비 1. px4_toolchain_installer_v14_win.exe 설치 – 만일 toolchain을 D드라이브에 설치했다면 아래 PATH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D:\pixhawk_toolchain\Python27;D:\pixhawk_toolchain\Python27\Scripts;D:\pixhawk_toolchain\toolchain\bin 2. PX4 Console 실행 ■ Ubuntu에서 빌드 #!/bin/sh ########################################################### # # Ardupilot 빌드 # ########################################################### CURRENT_DIR=$PWD git clone -b Copter-3.3 https://github.com/ArduPilot/ardupilot.git cd $CURRENT_DIR/ardupilot ./Tools/scripts/install-prereqs-ubuntu.sh -y source

Build ArduPilot for Pixhawk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