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콥터 기초

비행금지구역의 모든 것

출처 : http://www.dronestarting.com/drone-legal-guide/ ‘장난감을 갖고 노는데 법을 지켜야 한다’는 건 우리에게 아직 낯설게 느껴집니다. 그러나 내가 동의할 수 없는 법이라도 위반하면 반드시 패널티를 받게 되죠. 이번 글은 정부가 규제하는 비행금지구역과 관련된 내용을 총 정리 해드립니다.    *비행금지구역이란 비행금지구역은 항공법에 의해 법적으로 비행이 금지된 구역으로, 이 지역에서 드론(취미용드론 포함)을 날릴 경우 지방항공청 또는 국방부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항공법 : 항공법은 드론을 언제 날릴 수 있는지, 어디서 날릴 […]

비행금지구역의 모든 것 더 읽기"

드론 호버링 (Hovering) 하는 방법

출처: http://www.dronestarting.com/hovering/ *준비 장소의 선정 : 처음 호버링을 연습할 때는 벽이나 천정 등의 장애물이 없는 실외의 탁 트인 장소에서 시작하셔야 합니다. 드론이 예상보다 휙휙 움직여서 벽에 부딪치기 쉽기 때문입니다. 드론과 거리두기 : 배터리를 끼우고 2미터 이상 떨어진 뒤 조종기를 잡으셨다면 조종기 전원을 켜 주세요. 조종기 적응 : 상하타(throttle)를 올리는데 처음에는 5%미만이다 싶을정도로 미세하게, ‘위로 올린다’ 라기보다는 ‘문지른다’ 라는 느낌이 들도록 살짝 올려주세요. 만약에 프로펠러가 돌지 않는다면 배터리를 확인해보시는

드론 호버링 (Hovering) 하는 방법 더 읽기"

방정식, 미적분법 그리고 delegate

원문:http://www.hanbit.co.kr/network/view.html?bi_id=614 작성: 한동훈(traxacun at unitel.co.kr) 작성일: 2003. 3. 12 – 26 지난 시간에는 분할 정복(Divide & Conquer)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이번 시간에는 분할 정복의 연장선상에 있는 근찾기(Root Finding)와 미적분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알고리즘을 보다 유연성있게 적용하기 위해 delegat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근찾기 알고리즘(Root Finding) 방정식의 근을 찾는 알고리즘은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이분법(Bisection)과 뉴튼-랩슨(Newton-Rahpson)법에 대해서만 소개할 것이다. 이외에도

방정식, 미적분법 그리고 delegate 더 읽기"

PID제어 기초

출처: http://www.ktechno.co.kr/pictech/motor05.html 1. PID 제어란? 자동제어 방식 가운데서 가장 흔히 이용되는 제어방식으로 PID 제어라는 방식이 있다. 이 PID란, P: Proportinal(비례) I: Integral(적분) D: Differential(미분) 의 3가지 조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유연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2. 단순 On/Off 제어 단순한 On/Off 제어의 경우에는 제어 조작량은 0%와 100% 사이를 왕래하므로 조작량의 변화가 너무 크고, 실제 목표값에 대해 지나치게 반복하기 때문에, 목표값의 부근에서 凸凹를 반복하는

PID제어 기초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