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호버링 (Hovering) 하는 방법

출처: http://www.dronestarting.com/hovering/

*준비

  • 장소의 선정 : 처음 호버링을 연습할 때는 벽이나 천정 등의 장애물이 없는 실외의 탁 트인 장소에서 시작하셔야 합니다. 드론이 예상보다 휙휙 움직여서 벽에 부딪치기 쉽기 때문입니다.
  • 드론과 거리두기 : 배터리를 끼우고 2미터 이상 떨어진 뒤 조종기를 잡으셨다면 조종기 전원을 켜 주세요.
  • 조종기 적응 : 상하타(throttle)를 올리는데 처음에는 5%미만이다 싶을정도로 미세하게, '위로 올린다' 라기보다는 '문지른다' 라는 느낌이 들도록 살짝 올려주세요. 만약에 프로펠러가 돌지 않는다면 배터리를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제자리에서 낮게 띄웠다 내리기 연습

천천히 상하타를(Throttle)올려 드론을 눈높이보다 낮게(1미터 정도) 띄워 주세요. 상하타를 조금씩 문지르둣 올렸다 다시 살짝 내리면서 드론이 조종기에 어느 정도로 반응하는지 파악하세요. 사용하는 모델에 따라 반응속도가 다르므로 몇번 해보시면서 감을 익히셔야 합니다.

 

2. 원하는 자리에 착륙하기 연습

드론을 50센티~1미터 정도 띄운 상태에서 전후타(pitch) 를 올려 2~3미터정도 전진하고 착륙시키세요. 안전하게 착륙시켰으면 그자리에서 다시 1미터정도 띄우고 전후타를(pitch)를 아래로 내려서 원래 출발했던 장소로 돌아와 착륙시키세요. 좌우도 마찬가지로 띄우고  좌우타(첫 드론을 위한 조종 가이드)을 참고하세요." class="glossaryLink "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0, 144, 255); border-bottom-style: dotted;">roll)을 사용해서 왼쪽으로 2~3미터 이동 후 착륙, 다시 돌아오기를 반복 해보면서 착륙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3. 호버링 하여 나아가기

일단 1미터정도 띄워서 그리고 어느정도 안정적으로 움직이면 1.5미터 정도 띄워서 호버링을 합니다. 상하타를 문지르듯 위로 밀며 드론의 고도를 유지시킵니다.

그리고 나면 드론이 앞뒤 좌우로 조금씩 움직일때마다 살짝살짝 문지르듯 반대쪽으로 밀어서 드론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합니다. 어느 정도 호버링이 되었다면 호버링된 고도를 유지하면서 전후타(pitch)를 올려서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세요 그리고 착륙하고자 하는 지점을 잡아서 원하는 곳에 내리는 연습을 하세요.

여기까지 가능하다면 수동으로 드론을 조종하여 사진을 찍거나 원하는 지역을 둘러보는 비행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호버링 전 트리밍(영점잡기)

호버링을 할 때, 상하타(Throttle)만을 사용해서 천천히 띄웠는데 드론이 한쪽으로 움직인다면 트리밍을 하셔야 합니다.

트리밍은 쉽게 말하면 군대에서 총쏘기 전에 영점을 잡으시는 것과 비슷합니다. 조종기에 달린 4개의 트림 탭을 드론이 움직이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움직여서 영점을 잡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상하타(Throttle)를 올렸는데 드론이 왼쪽으로 간다면

  • 1. 드론을 완전히 착륙시키고 좌우타를 움직이는 트림을 오른쪽으로 한칸 움직인다.
  • 2. 다시 드론을 띄워서 움직임을 확인한다.
  • 3. 여전히 왼쪽으로 간다면 다시 착륙시키고 오른쪽으로 트림을 한칸 더 움직인다.

이런식으로 드론을 착륙시키고 트림을 조종하는 것을 통해 드론이 어느정도 안정감을 갖추었다면 호버링연습을 계속 해 보세요.

 

 

호버링(Hovering)은 과거 RC에서는 굉장히 어려운 기술이었지만 4개의 날개가 달린 드론에서는 상대적으로 금방 배우실 수 있습니다. 연습을 하시다 보면 호버링이나 정확한 착륙이 어느 순간 확 익숙해지는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 전까지는 낮은 고도에서 착륙연습을 반복적으로 해보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