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취약점 기준 정리

출처: https://m.blog.naver.com/nowababa/220845748729



o OWASP Top 10  (https://www.owasp.org/)

   프로그래밍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발생하는 취약점을 정리한 리스트로 번호가 중요도를 반영하고 있으며 개발 적용이나 교육이 용이함

   ※ OWASP :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Project


번호

내용

1

인젝션

2

인증 및 세션 관리 취약점

3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XSS)

4

취약한 직접 객체 참조

5

보안 설정 오류

6

민감 데이터 노출

7

기능 수준의 접근 통제 누락

8

크로스 사이트 요청 변조 (CSRF)

9

알려진 취약점이 있는 컴포넌트 사용

10

검증되지 않은 리다이렉트 및 포워드


 

o SANS Top 25 (http://cwe.mitre.org/top25/)

  - 교육은 통해 소스 레벨에서 취약점을 야기하는 코드를 만들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 졌으며 핵심적인 오류들을 포함하고 있음


번호

내용

1

SQL명령에 사용된 특별한 엘리먼트를 무효화 하지 않음 (SQL인젝션)

2

OS명령에 사용된 특별한 엘리먼트를 무효화 하지 않음 (OS인젝션)

3

입력 크기를 확인하지 않고 버퍼에 복사 (버퍼 오버플로우)

4

웹페이지 생성 도중 입력값을 무효화 하지 않음 (XSS)

5

핵심 기능에 대한 인증 누락

6

인가 기능을 누락

7

인증 데이터를 코드에 직접 기록

8

민감한 데이터 암호화 누락

9

위험한 유형의 파일 업로드를 제한하지 않음

10

신뢰할 수 없는 입력 정보에 의존하여 보안성 결정

11

불필요한 권한으로 실행

12

사이트간 위조 요청 (CSRF)

13

금지된 디렉토리 접근을 제한하지 않음 (경로 추적)

14

무결성 검사 없이 코드 다운로드

15

올바르지 않은 인가

16

신뢰할 수 없는 제어영역에서 온 기능을 포함

17

중요한 자원에서 잘못된 권한을 할당

18

잠재적 위험을 가진 함수를 사용

19

취약하거나 해독 가능한 암호 알고리즘 사용

20

버퍼 크기를 잘못 계산

21

과도한 인증 시도를 제한하지 않음

22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로 URL리다이렉션 허용(오픈 리다이렉션)

23

문자 형식을 통제하지 않음

24

정수 오버플로우 또는 랩어라운드

25

Salt값 없이 단방향 해쉬값 이용


 

o KISA 홈페이지 취약점 진단·제거 가이드 (http://kisa.or.kr)

  - 웹 사이트 관리자 또는 보안담당자가 직접 따라 할 수 있도록 쉽게 작성된 가이드


번호

내용

1

운영체제 명령 실행

2

SQL 인젝션

3

XPath 인젝션

4

정보누출

5

악성콘텐츠

6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XSS)

7

약한 문자열 강도

8

불충분한 인증 및 인가

9

취약한 패스워드 복구

10

불충분한 세션 관리

11

크로스 사이트 리퀘스트 변조(CSRF)

12

자동화 공격

13

파일 업로드

14

경로추적 및 파일 다운로드

15

데이터 평문전송

16

쿠키 변조

17

URL/파라미터 변조

18

디렉터리 인덱싱

19

관리자페이지 노출

20

위치공개

21

웹 서비스 메소드 설정 공격


 

행자부 SW개발보안 보안약점 (http://www.mospa.go.kr/)

  - 공공행정기관 시스템 개발시 적용해야하는 SW개발보안 보안약점 기준 47


번호

내용

1

SQL 삽입

2

경로 조작 및 자원 삽입

3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트

4

운영체제 명령어 삽입

5

위험한 형식 파일 업로드

6

신뢰되지 않는 URL 주소로 자동접속 연결

7

XQuery 삽입

8

XPath 삽입

9

LDAP 삽입

10

크로스사이트 요청 위조

11

HTTP 응답분할

12

정수형 오버플로우

13

보안기능 결정에 사용 되는 부적절한 입력값

14

메모리 버퍼 오버플로우

15

포맷 스트링 삽입

16

적절한 인증 없는 중요기능 허용

17

부적절한 인가

18

중요한 자원에 대한 잘못된 권한 설정

19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 사용

20

중요정보 평문저장

21

중요정보 평문전송

22

하드코드된 비밀번호

23

충분하지 않은 키 길이 사용

24

적절하지 않은 난수 값 사용

25

하드코드된 암호화 키

26

취약한 비밀번호 허용

27

사용자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쿠키를 통한 정보 노출

28

주석문 안에 포함된 시스템 주요정보

29

솔트 없이 일방향 해쉬함수 사용

30

무결성 검사없는 코드 다운로드

31

반복된 인증시도 제한 기능 부재

32

경쟁조건검사 시점과 사용 시점(TOCTOU)

33

종료되지 않는 반복문 또는 재귀 함수

34

오류 메시지를 통한 정보 노출

35

오류 상황 대응 부재

36

부적절한 예외 처리

37

Null Pointer 역참조

38

부적절한 자원 해제

39

해제된 자원 사용

40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 사용

41

잘못된 세션에 의한 데이터 정보 노출

42

제거되지 않고 남은 디버그 코드

43

시스템 데이터 정보노출

44

Public 메소드부터 반환된 Private 배열

45

Private 배열에 Public 데이터 할당

46

DNS lookup에 의존한 보안결정

47

취약한 API 사용


   

행자부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http://www.mospa.go.kr/)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평가 기준 중 웹 취약점 부분


번호

내용

1

버퍼 오버플로우

2

포맷스트링

3

LDAP 인젝션

4

운영체제 명령 실행

5

SQL 인젝션

6

SSI 인젝션

7

XPath 인젝션

8

디렉터리 인덱싱

9

정보 누출

10

악성 콘텐츠

11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

12

약한 문자열 강도

13

불충분한 인증

14

취약한 패스워드 복구

15

크로스사이트 리퀘스트 변조(CSRF)

16

세션 예측

17

불충분한 인가

18

불충분한 세션 만료

19

세션 고정

20

자동화 공격

21

프로세스 검증 누락

22

파일 업로드

23

파일 다운로드

24

관리자 페이지 노출

25

경로 추적

26

위치 공개

27

데이터 평문 전송

28

쿠키 변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