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copter 관련 용어

■A2 : DJI 에서 출시한 최고급 F.C
■Alexmos 보드 : 저가의 브러시리스 짐벌을 구동하는 두뇌역할을 하는 보드. 현재 대부분의 저가 브러시리스 짐벌시대를 열었으며 현재도 진행중
■APM2.5/2.6 : 아두보드 의 한 종류로 신뢰성과 활용성, 접근성을 높였음
■BEC(Battery Eliminator Circuit )/UBEC : 전압을 조정해 주는 장치(예: 14.8V -> 12V/5V)
■ESC(Electronic Speed Control)  =  변속기
■F.C. : Flight Controller 의 약자로써 멀티콥터의 자세제어, 위치홀딩, 고도홀딩 등의 기능을 관장하는 두뇌와 같은 장치
■FASST : Futaba 사의 조종기가 수신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방식이며 현재 FASST2 가 최신버전임
■FOV(Field of View) : 주로 고글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고글 내에서 화면이 보여지는 화면의 각도_ 화면의 크기와 연관됨.
■FPV(First-Person View) : '1인칭 시점의 시야'의 약자로써 비행자가 실시간으로 기체에 달린 카메라의 영상을 보며 비행하는것을 말함
■GND(접지/Ground) : 그라운드의 전기적 명칭의 약자로써 주로 플러스와 마이너스라 불리는 것의 마이너스(검정색)라인을 일컬음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 위성에서 신호를 받아 현재 위치를 기체에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장치
■Headless mode : 기체의 어디를 향하고 있든 상관없이 조종자 기준으로 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기능.
■IMU(Intertial Measurement Unit) : 우공이나 A2에서 각종 센서들을 압축해 넣어둔 장치
■IOC(Intelligent Orientation Control) : 일반적으로 홈락 코스락 등 기체가 어디를 보든 지자계나 GPS를 이용하여 간단히 자기쪽으로
■KIT : 기체 세트 중 기체에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 부품만으로 구성된 세트. 대부분의 구동부나 송수신부 부품들을 별도로 구입해야함
■KK2.0/ KK2.1 : 저가의 F.C로써 GPS관련 기능은 없지만 탁월한 메뉴얼비행 성능을 자랑하며 Atti 기능도 있음. 보드상 LCD로 세팅바로가능
■MCU(Micro Controller Unit) : 우공, 나자, A2 에서의 중앙 컨트롤 장치 이름. 나자의 경우 MCU에 센서가 같이 들어있고 우공은 센서를 IMU에 보관
■OSD : On Screen Display 의 약자로써 화면상에 비행에 관련된 정보(전압, 전류, 고도, 거리, 속도, 홈 위치, 등)를 제공
■PID(Proportional(비례)-Integral(적분)-Derivative(미분)) 값 : 안정화값 산출을 위해  P(현재의 오류), I(과거의 오류), D(미래의 오류) 값을 적분공식을 사용하여 수식에 응용함. 비행안정화를  위한 입력값
■PMU(Power Management Unit) : 나자, 우공, A2에서 전원을 관장하는 장치로써 BEC기능을 가지고 있음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 조종기에서 수신기로 조종기 상태를 디지탈로 전송할 때 사용한던 신호규격
■PWM(Pulse Width Modulation) : 펄스 폭 변조로 On/Off 시간을 조절하여 제어하는 방법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수신강도를 나타내는 지표.강도의 단위는 dBm 이다.
■S-BUS : 조종기와 수신기 사이에 일반적으로 각 채널당 1:1로 단자를 꽂아 신호를 전송하지만 S-BUS이용시 여러개  채널의 신호를 한  단자로 사용가능
■UAV(Unmanned Aerial Vehicle) : 무인 공중 운송수단=무인항공기
■X8 : X자 형태의 프레임에 각각의 끝단에 위 아래로 모터가 2개씩  총 8개의 모터가 달려 8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Y6 : Y자 형태의 프레임에 각각의 끝단에 위 아래로 모터가 2개씩  총 6개의 모터가 달려 6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가속도센서 : 기체가 수평 보조장치로써 자이로와 함께 사용되며 중력가속도를 바탕으로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
■견적/추락견적 : 기체가 추락하여 발생하는 금전적인 손실
■고글/Goggle : 안경형태의 영상출력장치로써 주로 FPV비행에 이용
■고도홀딩 : 기압계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수직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
■고주파진동 : 시간당 흔들림 수가 매우 빨라 눈으로 흔들림으로 잘 인식되지는 않으나 화면에 젤로나 순간왜곡현상을 발생시키는 진동
■구동부 : 기체에서 모터나 프로펠러, 서보, 변속기 등 기체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관장하는 부위. 기체에서는 주로 모터,변속기를 구동부라함
■나자/Naza : DJI에서 출시한 F.C. 로써 GPS와 같이 장착시 페일세이프와 IOC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입문~고급 항공촬영이 가능
■노콘 : 기체와 조종기 사이의 신호에 문제가 생겨 조종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체동작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댐퍼(damper) : 고주파 진동을 막기위해 기체의 구동부와 카메라 짐벌 사이에 장착하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부품
■도데카 : 12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땡비 : 학교나 직장을 땡땡이 치고 비행에 나서는 것
■랜딩스키드 : 기체의 발부분, 이 착륙 시 충격으로부터 기체를 보호
■러더(Rudder) : 콥터가  제자리에서 수평으로 회전하는 동작
■롤 : 짐벌이 고개를 갸우뚱 하는 방향으로 옆으로 움직이는 것
■롤(2) : 콥터 스턴트에서 기체가 측면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360도 회전하는것
■루프 : 콥터 스턴트에서 콥터가 전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360도 회전하는것
■리그 = 짐벌리그
■리얼플라이트 : 헬기, 비행기 시뮬레이터 중 가장 실사에 가까운 환경을 제공하는 고급 기종. 현재 7버전 까지 나와있음.
■리트렉터(Retractor) : 주로 3축 짐벌 카메라 촬영시 랜딩이 팬축 회전에도 화면에 나오지 않도록 모터 구동으로 접어 올리는 장치
■리포/리포배터리 : 현재 RC에서 쓰는 대부분의 배터리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_ 방전률이 높고 중량대비 효율성이 뛰어남
■리포알람 : 리포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할 때 소리나 불빛으로 경고를 해주는 장치 _ 보통 기체에 장착
■멀티위/ MultiWii : 닌텐도 Wii의 센서를 활용하여 제작한 F.C
■메가해적 : http://megapiratex.com/index.php
■모비우스(Mobious) : 2014년 초반 현재 최고 성능의 키캠, 1080P 까지 녹화가능
■바이콥터 : 2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바인딩 : 수신기가 조종기와 서로 매칭을 하여 송 수신을 시작하도록 신호를 맞추는 것
■방진 : 카메라 촬영시 카메라와 짐벌에 진동이 구동부로 부터 들어오는 것을 막는 행위
■배터리 : 멀티콥터에 미리 저장한 전기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장치
■배터리 알람 : 전압이 기준이하로 떨어졌을때 소리나 불빛으로 위험을 알려주는 장치
■배터리 용량 : 보통 "mah"라는 단위를 쓰며 용량이 클수록 제공하는 에너지가 비례적으로 증가
■베터리 볼트 : 보통 "V" 단위를 쓰며 모터나 각종 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을 말함. 전압이 높을수록 순간적인 힘이 증가
■변속기 : F/C 나 수신기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모터의 회전속도 결정하고 모터를 일정하게 구동시키는 장치
■붐대 : 멀콥의 모터나 변속기를 탑재하는 팔부분에 쓰이는 원형이나 사각 파이프
■브러시리스 짐벌 :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해서 구동하는 짐벌
■블루스크린 : 모니터로 FPV를 할때 전파가 약하거나 잡신호가 섞여들어올 때 쉽게 파란 화면이 뜨거나 화면이 꺼지면서 FPV화면을 볼수 없는 현상
■비디오스위치 : 하나의 영상 송신기에 두개 이상의 카메라를 연결하여 조종기로 조작하여 필요한 카메라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장치
■서보 : 모터의 한 종류로써 전원(+,GND) 외에 신호를 받아 신호에 따른 주로 정해진 각도의 회전동작을 하는 모터
■서보짐벌 : 서보 모터를 이용해서 구동하는 짐벌
■셀(배터리) / Cell : 배터리는 보통 여러개의 셀로 구성되며 리포기준 한 셀당 3.7볼트 정도, 이를 직렬로 연결하여 2셀, 3셀로 사용
■스로틀(throttle) : 비행기가 수직으로 위로 이동하는 방식의 움직임/ 전체적인 콥터 프로펠라 회전속도를 올리게 됨
■스로틀레인지 설정 : 조종기에서 전달되는 스로틀 신호의 폭과 범위를 변속기에 인식시켜 변속기가 조종기와 일정하게 동작하게 하는 설정
■시뮬레이터 : 헬기나 비행기의 실제 비행 전에 미리 컴퓨터에 조종기를 연결하여 게임처럼 연습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및 장. 리얼플라이트, 피닉스 등
■아두이노/아두보드 : 아두이노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기체를 컨트롤 할수 있는 F.C.
■에일러론 : 콥터가 수평으로 양 옆으로 이동(바닷게가 걸어가는 방식의 이동)
■엘리베이터 : 콥터가 수평으로 앞 뒤로 이동
■영상송수신장치/ 영숙이/ VTX / VRX : 카메라에서 찍힌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내고 받는 장치로써 대부분 전파기준에 맞지 않아 불법으로 간주됨
■오두막 :  캐논 DSLR 중 저가로 풀프레임 촬영이 가능한 5D Mark2 나 5D Mark3 를 일컫는 줄임말
■오픈소스 : 일반 개인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소스를 공개한 개발언어
■옥토/ Octo : 8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와트미터 : 전력소모량을 측정하는 장치
■우공/Wookong : DJI 에서 출시한 고급 F.C
■위치홀딩: GPS를 이용하여 수평의 위치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는 기능
■자이로 : 기체가 수평을 잡도록 도와주는 센서장치
■전원보드 : 변속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부분을 보드로 만들어 조립이 간편하게 해주는 장치, BEC가 포함은 옵션
■젠뮤즈 : DJI사에서 제작, 생산하는 짐벌 시리즈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성능이 뛰어나나 각각에 정해진 카메라와 정해진 렌즈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
■젤로/젤로현상 : 짐벌에 고주파진동이 들어와 화면에 물결치는 듯한 현상과 같은 비정상적인 화면출력이 발생,  주로 진동댐퍼로 이문제 를 해결
■지자계 센서 : 지구상의 자기의 흐름을 읽고 이를 분석해서 방향을 인식하는 센서
■지자계 센서 캘리브레이션 : 지자계 센서를 수정하여 정확한 방향인식을 하도록 교정하는 작업
■짐벌 : 서보나 브러시리스모터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흔들림 없이 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짐벌리그 : 짐벌은 일반적으로 멀티콥터에 장착되나 이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해주는 장치
■처녀비행 : 기체를 제작하거나 구매한 후 처음 비행하는 것
■코스락 : 나자나 우공에서 기체에 전원 인가후 30초가 되면 초록불이 연속으로 반짝이며 기체의 정면 방향을 인식, 작동시 그 방향을 정면으로 인식
■쿼드/Quad : 4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키캠 : 열쇄고리 형태의 초 소형 비디오 카메라를 일컫던 말로써 현재는 형태가 조금 달라도 비슷한 사이즈 및 형태도 같이 일컫음
■텔레메트리 : 비행중 기체의 배터리의 온도와 전압, 전류량 등의 정보를 송수신하여 조종자가 비행시 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볼수 있게 해주는 장치
■토끼보드/ Rabbit Board : 한때 우공과 나자의 가격이 높을때 저가의 대용으로 대두됐던 F.C로써 GPS를 이용한 각종 기능이 있음
■트라이콥터/ Tri : 3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기체(일반적으로 러더 회전을 위해 뒷면 모터는 서보를 이용, 모터 각도를 변경해 러더 방향 과 강도를 조절)
■틸트 : 짐벌이 고개를 위 아래로 까딱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파워보드/ Power distribution board  =  전원보드
■파워서플라이 : 고전류 충전기는 주로 전력공급장치가 내장되지 않아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야함. 이 장치를 파워서플라이라 함
■팬 : 짐벌이 고개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돌아가는 움직임
■페일세이프 : GPS가 설치된 FC이용시 콥터가 조종신호를 잃었거나/의도적으로 조종을 차단/복귀를 명령할때 설정에 따라 복귀 혹은 제자리 홀딩하는것
■프레임 : 기체의 뼈대를가리키는 말로 모터, 변속기, 배터리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물
■프레임(2) : 영상이 1초동안 몇자의 사진을 표출하는지 표현하는 단위, 보통 30프레임 / 초
■헌팅 : 주로 부적절한 세팅값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속적인 혹은 어떤 상황하에서 상하진동이 연속적으로 들어옴.
■헥사/ Hexa : 6개의 프로펠러로 비행하는 콥터
■호버링 : 제자리 비행
■홈락 : 나자나 우공에서 이륙한 지점을 홈포인트로 인식하고 엘리베이터를 아래로 당기면 기체 방향에 상관없이 조종자에게 돌아옴. 10미터 밖에서 사용 올수 있게 해주는 기능

■드론 조종모드
Manual : 수동 모드로 사용자가 모든 것을 조종해야 하는 모드입니다. '고감도' 와 '저감도' 로 나눠어 집니다.
Attitude : 고도를 유지시켜주는 모드로, 사용자가 조종을 하지 않아도 고도는 유지됩니다.
GPS : GPS를 통해 드론의 고도와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모드로 가장 조종이 쉽습니다.

■BNF(Bind & Fly)
드론 본체만 있고 컨트롤러는 별매하거나 가지고 있는 컨트롤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해외직구의 경우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 중 하나입니다.

■ARF(Almost Ready to Fly)
컨트롤러와 액세서리가 다 들어있지만 조립을 해야 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조립에 자신이 없는 초보라면 RTF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외직구를 할 때 반드시 살펴봐야 하는 사항입니다.

■RTF(Ready To Fly)
RTF는 컨트롤러와 액세서리가 포함된 완제품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특히 해외직구를 할 경우 꼭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조종기 조작모드
Mode 1은 Throttle이 오른쪽에 있는 방식이며 한국/일본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Mode 2는 Throttle이 왼에 있는 방식이며 현재 대부분의 드론이 차용하고 있습니다.
터닝 같은 고급 기술을 사용할 때는 Mode 1이 편하고, 익히기에는 Mode 2가 쉽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조종방향 용어
THR: Throttle / 위/아래 (좌↕)
RUD: Yaw(=Rudder) / 제자리 회전 (좌↔)
ELE: Pitch(=Elevator) / 전진/후진 (우↕)
AIL: Roll(=Aileron) / 좌진/우진 (우↔)

■ 조종기에 대하여...
스팩트럼사 조종기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는 DSM 방식으로 연결되고 수신기는 PWM 출력으로 나옵니다.
수신기 중에 위성수신기가 있는 타입이 있는데 W/satellite 가 위성수신기가 있다는 것이죠.
위성수신기와 수신기 사이에는 UART 방식으로 연결됩니다. 그래서 FC 들 중에 UART 포트가 있는 FC(Flight Controller)들은 위성수신기만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48은 PCM 방식이나 디지털방식의 송수신기에서 스틱의 값을 보낼 때 2048 단계로 세분화해서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처음 디지털 방식이 나왔을 때 8비트로 256단계였다 10비트인 1024로 넘어갔다 요즘은 11비트인 2048 혹은 그 이상의 것들도 나옵니다. 사실 1024 넘어가면 별 의미 없습니다. 메이커에서 제품 가격을 올리기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한다 보시면 될 것입니다.

■모터 진동 테스트 어플 : Seismograph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