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팅

[Fortify] 분석엔진별 개별 분석 방법

포티파이는 5개의 분석 엔진이 개별적인 모듈로 존재하며 각 모듈의 이름은 아래와 같다. 1. Dataflow (데이터 흐름 분석) 2. Semantic (구문 분석) 3. Structural (데이터 구조 분석) 4. Configuration (설정파일 분석) 5. ControlFlow (제어 흐름 분석) 빌드 후 분석 시스템의 메모리가 부족하거나 특정 분석엔진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각 분석엔진 별로 FPR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데 아래와

[Fortify] 분석엔진별 개별 분석 방법 더 읽기"

[Fortify] Active Directory 연동

■ TEST Active Directory(이하 AD) 환경 1. 도메인 및 트러스트 2. 테스트 사용자 계정 3. dsquery 테스트 C:\>dsquery * cn=hasu0707,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hasu0707,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dsquery * 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hasu0707,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macea00,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Administrator,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Guest,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WinRMRemoteWMIUsers__,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krbtgt,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Domain Computer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Domain Controller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Schema Admin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Enterprise Admin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Cert Publisher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Domain Admin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Domain User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Domain Guest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Group Policy Creator Owner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CN=RAS and IAS Servers,CN=Users,DC=adtest,DC=esvali,DC=com”

[Fortify] Active Directory 연동 더 읽기"

LDAP 개념 설명

참조 : http://wiki.tunelinux.pe.kr/pages/viewpage.action?pageId=884898 출처 : http://creator0609.tistory.com/entry/LDAP-%EC%9D%B4%EB%9E%80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는 조직이나, 개체, 그리고 인터넷이나 기업 내의 인트라넷 등 네트웍 상에 있는 파일이나 장치들과 같은 자원 등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LDAP는 DAP의 경량판(코드의 량이 적다는 의미임)이며, 네트웍 내의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인 X.500의 일부이다. LDAP는 초기 버전에 보안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LDAP 개념 설명 더 읽기"

윈도우 공유를 이용한 USB를 통한 인터넷 설정

1. Beaglebone Black 설정 – 게이트웨이 설정 sudo route add default gw 192.168.7.1 usb0 – 네임서버 추가 sudo echo “nameserver 8.8.8.8” >> vi /etc/resolv.conf 2. 윈도우 설정 인터넷 인터페이스(인터넷이 되는 인터페이스) : wlan0 USB 인터페이스(공유 대상 인터페이스) : usb0 네트워크 속성에 들어가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윈도우 공유를 이용한 USB를 통한 인터넷 설정 더 읽기"

lftp 사용 방법

man page : http://lftp.tech/lftp-man.html ■ sftp 접속 예 lftp -u “<userid>,<password>” -e “cache off; set sftp:charset utf8; set sftp:auto-confirm yes; set net:timeout 60; set net:reconnect-interval-base 5; set net:max-retries 10; mirror -e -v /remote_dir /local_dir; exit” sftp://ssh.mysite.com:22 ■ ftp 접속 예 lftp -u “<userid>,<password>” -e “cache off; set ftp:charset utf8; set net:timeout 60; set net:reconnect-interval-base 5; set

lftp 사용 방법 더 읽기"

윈도우10 고스트 이미지 복원 후 처리

1. 시작→유틸리티→설정→업데이트 및 복구→Windows Defender : 실시간 보호 끔, 향상된 알림 끔 2. 시작→유틸리티→설정→기본 앱 : 기본 앱 선택 수정 3. 제어판(바탕화면)→자동 실행 : 수정 4. C:\Program Files (x86)\mRemoteNG 에서 우클릭 후 속성→보안→Users에게 모든 권한 허용 5. 제어판(바탕화면)→개인 설정 : 수정 6. Edge 실행 후 설정메뉴 진입 – http://www.google.com : 들어가서 아무거나 검색 – http://www.naver.com

윈도우10 고스트 이미지 복원 후 처리 더 읽기"

Beablebone Black에 Ubuntu 설치

이미지 다운로드 : https://rcn-ee.com/rootfs/ 수동설치 : https://eewiki.net/display/linuxonarm/BeagleBone+Black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 메뉴 중 “Flasher / eMMC: BeagleBone Black/Green”에서 Prebuilt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bbb-emmc-flasher-ubuntu-16.04.1-console-armhf-2016-11-10-2gb.img.xz 의 압축을 풀고 “Win32 Disk Imager”를 사용하여 Micro SD카드에 써 넣는다. (이미지는 반드시 “eMMC–flasher-“라는 명칭이 파일명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어야 함) 1. 전원을 빼고 SD카드를 비글본블랙에 삽입한다. 2. 비글본블랙의 Boot 버튼을 꾹 누른다. 3. 누른상태로

Beablebone Black에 Ubuntu 설치 더 읽기"

Beaglebone Black GPIO 다루기

출처 : http://blog.aiui.com/13 1. 개요 이번 글에서는 BBB에서 GPIO를 다루는 방법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BBB에서 GPIO를 다루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글에서는 디바이스 트리 오버레이와 sys 가상 디렉토리를 이용해 원하는 핀을 GPIO용으로 설정하고 테스트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 글의 내용들은 제가 완전히 이해하고 자신있게 강좌의 개념으로 정리했다기 보다는 ‘이렇게 사용해 봤습니다’ 라는 정도의 수준이고, 제 자신의 정리로써의 의미가 더 강하므로 그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GPIO란? 이 글을 보시려는 대부분의 분들이 GPIO에 대해 잘 아시겠으나 혹여라도 생소한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만 언급을

Beaglebone Black GPIO 다루기 더 읽기"

아두이노 메모리 분석하기

출처 : http://www.hardcopyworld.com/gnuboard5/bbs/board.php?bo_table=lecture_pract&wr_id=35 아두이노와 센서를 능숙하게 다루고 각종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활용하기 시작하는 중급 유저라면 메모리 문제를 한번쯤 겪기 마련입니다. 불과 2KB의 SRAM을 가진 아두이노에서는 메모리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는데 반해 이를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이 아두이노에서는 마땅히 없습니다. (PC 혹은 다른 기기, 플랫폼에서도 메모리 문제가 골치거리인 점은 같지만…) 유일한 디버깅 방법인 Serial 함수를

아두이노 메모리 분석하기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