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리눅스에 Open VM Tools 설치 방법
링크: https://github.com/vmware/open-vm-tools
[vmware] 리눅스에 Open VM Tools 설치 방법 더 읽기"
링크: https://github.com/vmware/open-vm-tools
[vmware] 리눅스에 Open VM Tools 설치 방법 더 읽기"
vi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rhgb quiet" 에서 quiet 뒤에 아래의 두가지 옵션을 추가해 준다. GRUB_CMDLINE_LINUX="rhgb quiet net.ifnames=0 biosdevname=0"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mv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sed -i "s/ens33/eth0/g"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CentOS 7 NIC 인터페이스명 eth0로 변경하기 더 읽기"
1. 설치 apt-get -y install davfs2 2. ID/PW 셋팅 echo "https://webdav.mysite.com:443 <WebDAV 아이디> <WebDAV 비밀번호>" >> /etc/davfs2/secrets 3. 마운트 echo y | mount \ -t davfs \ -o rw \ -o uid=1000 \ -o gid=1000 \ https://webdav.mysite.com:443 \ /mnt
▩Token: /dev/sdX st4000dm004 ST4000DM004 1. 파티션 초기화# dd if=/dev/zero of=/dev/sdX bs=4096 count=1 2. 파티션 잡기# parted /dev/sdXGNU Parted 3.2Using /dev/sdXWelcome to GNU Parted! Type ‘help’ to view a list of commands.(parted) mklabel gpt (일반 파티션은 mklabel msdos)(parted) unit tb(parted) mkpart st4000dm004 0.00tb 4.50tbor(parted) mkpart st4000dm004 0% 100% (일반 파티션은 mkpart primary ext4 0% 100%) (parted)
리눅스에서 2TB 이상의 파티션 잡기 (parted) 더 읽기"
■ rsyslogd Server 측 설정 # vi /etc/rsyslog.conf $ModLoad imudp $UDPServerRun 514 $template FILENAME,”/var/log/%HOSTNAME%/%$YEAR%_%$MONTH%_%$DAY%.log” *.* ?FILENAME ■ rsyslogd Client 측 설정 # vi /etc/rsyslog.conf *. * @192.168.10.35:514 또는 mail.* @192.168.10.35:514 ■ 작동 확인 systemctl status rsyslog.service rsyslogd -v
vi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or rm -f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내용을 다 삭제 후 다시 부팅.
[VMware] CentOS 6 VM 이미지 복사 후 eth0 안잡힐때 더 읽기"
sestatus SELinux status: enabled SELinuxfs mount: /selinux Current mode: enforcing Mode from config file: disabled Policy version: 24 Policy from config file:
# 플러싱 하기 (반드시 먼저 실행할 것!!) sync # pagecache 비우기 sysctl -w vm.drop_caches=1 # dentries, inodes 비우기 sysctl -w vm.drop_caches=2 # pagecache, dentries, inodes 모두 비우기 sysctl -w vm.drop_caches=3 # pagecache, dentries, inodes 캐쉬 시작 sync echo 0 > cat /proc/sys/vm/drop_caches # crontab -e (매시간 마다 실행) 0 * * * * /usr/bin/sync &&
1. /etc/banner 편집 WARNING: Unauthorized access to this system is forbidden and will be prosecuted by law. By accessing this system, you agree that your actions may be monitored if unauthorized usage is suspected. 2. vi /etc/ssh/sshd_config Banner /etc/banner 구문 추가 3. sshd 재시작
$ vi /etc/postfix/main.cf 후 아래 항목들을 수정 후 추가한다. myhostname = smtp.example.com inet_interfaces = all mynetworks_style = subnet mynetworks = 10.10.10.0/24, 127.0.0.0/8 # service postfix restart or # systemctl restart postfix
※ container는 VM 프로세스 개념, image는 docker image file 개념. ■docker container 확인 docker ps docker ps -a (죽은 docker container까지 확인) docker ps –format "table {{.Names}}\t{{.Ports}}" docker name과 port만 출력 ■docker 쉘로 진입 docker exec -i -t <CONTAINER ID or Name> /bin/bash ■docker container 로그 열람 docker logs <CONTAINER ID or Name> docker logs
■ BSD Style 옵션 a : BSD Style 옵션을 사용하겠음. x : BSD Style (모든 프로세스) j : BSD job cotrol format f : 쓰레드를 트리형태로 출력 ■ 일반 옵션 -a : 최근에 많이 실행된 제어 터미널을 가진 프로세스의 정보를 출력 -e : 모든 프로세스 (=-A) -f : Full-format -H : 쓰레드를 트리형태로
■ crontab 옵션 crontab -e : 편집 crontab -l : 목록 보기 crontab -j : 삭제 ■ 기본 포맷 * * * * * 분(0-59) 시간(0-23) 일(1-31) 월(1-12)
출처: http://htst.tistory.com/61 넷캣(Netcat)은 TCP나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는 UNIX의 cat과 비슷한 사용법을 가지고 있지만 cat이 파일에 쓰거나 읽듯이 nc는 network connection에 읽거나 쓴다. 이것은 스크립트와 병용하여 network에 대한 debugging, testing tool로써 매우 편리하지만 반면 해킹에도 이용범위가 넓다. Netcat(이하 nc로 표기)은 Network connection 에서 raw-data read, write를 할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