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언어

ShellAPI 함수 ExtractIconEX()

ShellAPI 함수 ExtractIconEX() ShellAPI 함수인 ExtracIconEx() 는 실행 파일,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DLL) 또는 아이콘 파일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함수에 대한 정의이다. Function ExtractIconEx(lpszFile : PAnsiChar;                        nIconIndex : Integer;                        phiconLarge : PhIconArray;     […]

ShellAPI 함수 ExtractIconEX() 더 읽기"

13가지 주의 사항: Visual C++ .NET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 2005로 이식하기 전에 알아야 할 13가지 내용

13가지 주의 사항: Visual C++ .NET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 2005로 이식하기 전에 알아야 할 13가지 내용 Stanley B. Lippman Microsoft Corporation 적용 대상:    Microsoft Visual C++ .NET    Microsoft Visual C++ 2005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Microsoft Visual Studio .NET 요약 : 개발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Microsoft Visual Studio 2005로 이식할 때 주의해야

13가지 주의 사항: Visual C++ .NET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 2005로 이식하기 전에 알아야 할 13가지 내용 더 읽기"

Common Lisp Guide

사실 리습을 처음 공부하려면 막막하다. 어떤 책으로 시작해야 할지, 수 많은 구현 중에 어떤 구현을 사용해야 할지, 쓸만한 라이브러리나 웹 프레임워크는 어떤 게 있는지.. 알기가 어렵다. 국내에 도움을 얻을 만한 책도, 활발한 커뮤니티도 없다. 그래서 내 경험을 바탕으로, 매우 주관적인 가이드를 써 보고자 한다. 1. 구현(Implementation)리습은 구현이 여러 개다. 언어 자체를 규정하는 Common Lisp ANSI

Common Lisp Guide 더 읽기"

람다계산법

계산 가능성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고 아름다운 수학적 개념이다. 그리고 그것이 수학의 근본 성질을 다룬다는 점에서 보면 1930 년대에 처음 등장했다는 것이 놀라울 정도로 근자에 와서 연구되기 시작한 분야이기도 하다. 이 개념은 수학의 모든 분야에 관련된다. (물론 거의 모든 수학자들이 계산 가능성에 대해서는 종종 염두에 두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이 개념이 놀라운 이유 중의 하나는 몇몇

람다계산법 더 읽기"

어셈블리어 명령어 정리2

8051 어셈블리 명령어   [[볼때 관점]] 명령어 비트와 사이클 부분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 비트는 명령어 자체만의 비트..즉 오퍼랜드는 제외.. 사이클은 CPU 내부 펄스 사이클 메모리에서 읽어드리는 경우는 읽어드리는 과정이 포함됨으로 최소 2사이클 이상이 됨을 주의해볼 필요가 있다. Coprocessor 부분을 이용하는 연산의 경우도 꽤나 많은 사이클이 걸린다. 결국, 메모리보다 Coprocessor부분이 많은 실행 소요시간을 차지한다. 명령어

어셈블리어 명령어 정리2 더 읽기"

어셈블리어 PIC 명령 일람(바이트 처리 명령)

PIC 명령 일람(바이트 처리 명령) [기호 설명]아래 설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호, 약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기호 의미 내용 기호 의미 내용 f 레지스터의 어드레스 Wreg 워킹 레지스터 b 비트의 어드레스(0-7) k 리터럴 데이터(1byte) x Don’t care(0으로 해둔다) d 저장처 지정(0 or 1) label 레이블명 PC 프로그램 카운터 dest d와 같은 의미   [ ] 생략

어셈블리어 PIC 명령 일람(바이트 처리 명령) 더 읽기"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작성자 : cloudyeyes, 등록일 : 2006-04-27 15:27:57                               자바를 공부하시는분들이 용어를 많이 헷깔려 하더군요… 저역시 그랬구요… 그래서 정리 한번 해봅니다. 자바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꼭 알아야 하는 간단한 용어 몇가지입니다^^

SDK, JDK, J2SDK, J2SE, J2EE, J2ME, JRE 용어정리 더 읽기"

RSA PKCS의 관련 자료

RSA PKCS의 관련 자료 Public Key Crpytography Standard(PKCS)는 RSA사에서 주관하고 있는 공개키 암호를 위한 표준으로 다음과 같이 PKCS#1 부터 PKCS#15 까지 있다.*해당 링크에 가시면 보다 다양한 자료들(Testvectors, ASN.1 Module, doc 문서)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PKCS #1: RSA Cryptography Standard RSA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암호화, 서명 scheme의 구현에 대한 권고 표준이다. 이것은 키, scheme에 대한 ASN.1

RSA PKCS의 관련 자료 더 읽기"

C 선행처리기(Preprocessor)

선행처리기(Preprocessor) 본장에서는 컴파일 하기전에 특정 문장을 미리 정의하는 선행처리기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선행처리기는 C언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C언어에서 프로그래밍을 할 때 좀더 간결하고 편리하게 하기위한 보조 역할을 하는 형태입니다.컴파일러가 프로그램을 컴파일 하기전에 이 선행처리문을 C언어 형태로 바꾼후에 이것을 컴파일 합니다. 그러나 선행처리기를 잘 활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또한 디버깅 및 프로그램의 버전업을 쉽게 할 수가

C 선행처리기(Preprocessor) 더 읽기"

printf의 포맷정리

출처: http://kucg.korea.ac.kr/~sjkim/teach/2001/cse037/index.html   변환 문자 변환 문자의 종류 변환문자 argument 변환 방법 %d int형, char형 부호 있는 10진수로 출력한다. %ld long형 long type의 10진수로 출력한다. %u unsigned형 부호 없는 10진수로 출력한다. %x, %X int형, char형, unsigned형 16진수로 출력한다. %x는 소문자로 출력하고, %X는 대문자로 출력한다. %o int형, char형, unsigned형 8진수로 출력한다. %c int형, char형, unsigned형 주어진

printf의 포맷정리 더 읽기"

주요 ESCAPE 문자 목록

\u0020 16진수 Unicode 문자, 항상 4자리로 사용 \x20 16진수 ASCII 문자, 항상 2자리로 사용 \t 탭 문자, Tab, \u0009 \r 줄 바꿈 문자, Carriage Return, \u000D \n 줄 바꿈 문자, Line Feed, \u000A \s 공백 문자, White-Space Character, \t \r \n 스페이스 포함 \S \s 이외의 문자 \d 숫자, [0-9] 과 같은 의미 \D \d

주요 ESCAPE 문자 목록 더 읽기"

en.wikipedia.org/wiki/KMP & [네비버] KMP 알고리즘

KMP String Matching Algorithm은   Knuth-Morris-Pratt의 약자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abcabca         : 길이 L abc                 : 길이 M   abcabca에서 abc의 개수는 몇개일까요?   종종 우리가 하는 방법이 일일히 길이 L에 대해서 M을 쫙 다 보는거죠.   우리가 하는 방법이 시간복잡도 O(LM)입니다.

en.wikipedia.org/wiki/KMP & [네비버] KMP 알고리즘 더 읽기"

상용 세마포어와 뮤텍스의 예

[세마포어] [뮤텍스] 동기화에 필요한 기술들. 데드락이 걸렸을 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세마포어나 뮤텍스에 의해 데드락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꼭 필요한 부분에만 제대로 사용해야합니다. 뮤텍스란 MUTual EXclusion으로 우리말로 해석하면 ‘상호 배제’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상호 배제해서 실행하는 겁니다. 임계 구역을 가진 스레드들이 동시에 실행되지 않고 서로 배제되어 실행되게 하는 기술입니다. 여기서 임계구역(Critical Section)란 프로그램 상에서

상용 세마포어와 뮤텍스의 예 더 읽기"

위로 스크롤